본문 바로가기

IT/Ubuntu

Oracle XE 설치 (CentOS 및 RedHat 계열)

1.     rpm -qa *-release

위 명령어를 통해 리눅스 버전확인

 

2.     cd /etc/yum.repos.d

위 경로로 이동 후, 리눅스 버전에 따른 preinstall package 다운 위한 준비

Oracle Linux 7

wget http://public-yum.oracle.com/public-yum-ol7.repo

 

Oracle Linux 6

wget http://public-yum.oracle.com/public-yum-ol6.repo

 

3.     wget https://public-yum.oracle.com/RPM-GPG-KEY-oracle-ol6 -O /etc/pki/rpm-gpg/RPM-GPG-KEY-oracle --no-check-certificate

설치에 앞서 위 명령어를 실행하여 GPG key 관련 오류를 방지

 

4.     yum install oracle-rdbms-server-11gR2-preinstall

위 명령어를 통해 preinstall package 설치

 

5.     yum install unzip

unzip도 설치

 

6.     http://www.oracle.com/technetwork/database/database-technologies/express-edition/downloads/index.html

위 사이트에서 linux 전용 rpm 다운 후 linux로 이동.

 

 

7.     Groupadd oinstall
groupadd dba
useradd –g oinstall –G dba oracle
passwd oracle

 

이를 통해 oracle DB에 접근할 그룹과 계정을 생성하고 비밀번호 설정

 

8.     설치에 앞서 swap공간을 정의해줘야 함.
oracle xe 11g
에서 필요로 하는 공간은 2G정도.

 

Mkdir /swap
dd if=/dev/zero of=/swap/swapfile bs=1024 count=2097152
bs * swapsize = count
이다. 따라서 이를 계산해서 count값을 조절해주면 된다.
cd /swap
mkswap swapfile    = swap
파일을 적용해서 사용케 함.
swapon swapfile    = swap
파일을 지금부터 사용.
재부팅 후에도 사용할 것이면
vi /etc/fstab  
에서
/swap/swapfile swap swap defaults 1 1            
ç 이 내용 추가 적용

Free 명령으로 확인.

 

9.     6에서 다운 받은 rpm.zip의 위치로 가서 unzip 으로 압축 해제.

동위치에 Disk directory가 생성 됨.
Disk directory
에서 rpm 설치 수행.
rpm –Uvh oracle-xe-blabla.rpm

 

10.   설치 후 /etc/init.d/oracle-xe configure     ç 이를 실행하여 configurationsetting해준다.

여기서 안될 때가 있어 , 로그를 찍어놨대도 로그가 없지.

그럴땐말야, HOSTNAME 추가해줘야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종종 일어나는 현상 같은데,

echo "172.0.0.1 "$HOSTNAME >> /etc/hosts

위처럼 해서 hosts 파일에 hostname 추가해줘야 .

 

그리고 적용!

/etc/init.d/oracle-xe start


11.   cd /u01/app/oracle/product/11.2.0/xe/bin

12.   환경변수를 setting해주기 위해 . ./oracle_env.sh

 

13.   su oracle
vi ~/.bash_profile

 혹은,

     vi ~/.bashrc
. /u01/app/oracle/product/11.2.0/xe/bin/oracle_env.sh

위 내용을 추가한다.


본디 oracle이란 계정으로 접속하게 되면 위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sqlplus로 바로 oracle XE를 실행 가능하게 변경하는 것인데, 정확한 이유는 찾아봐야겠지만, bashrc 와 bash_profile 둘다 이 과정에 관여하는 부분이라... 뭐 무튼 둘다 넣어줘도 크게 상관은 없는 것 같다.

14.   설치 완료



기타 설정들

vi /etc/sysctl.conf


기존 값 보다 크면 큰 값을 적용

fs.aio-max-nr = 1048576

fs.file-max = 6815744

kernel.shmall = 2097152        

kernel.shmmax = 536870912  

kernel.shmmni = 4096

kernel.sem = 250 32000 100 128

net.ipv4.ip_local_port_range = 9000 65500

net.core.rmem_default=4194304

net.core.rmem_max=4194304

net.core.wmem_default=262144

net.core.wmem_max=1048586

/sbin/sysctl –p    적용

 







TIP

 

TNS-12555 & TNS-12560 & TNS-00525

리스너를 가동 시켰는데 아래와 같은 현상이 발생

 

TNS-12555: TNS:permission denied

TNS-12560: TNS:protocol adapter error

TNS-00525: Insufficient privilege for operation

Linux Error: 1: Operation not permitted

 

chmod 777 /var/tmp/.oracle << 이 path 가 맞습니다.

 

보통 chown가 문제.

oracle 계정에 대한 그룹을 지정해줘야하고. 뭐 무튼 그런데, 이것이 root거나 안 맞는 경우 발생하는 에러.

저는 oracle:oracle로 설정하니까 되었습니다.


<http://mrleeidea.com/page2_1/7371 참고.>




oracle 계정 추가.

 

Sqlplus "/as sysdba"

Conn /as sysdba;

 

 

CREATE USER 아이디 IDENTIFIED BY 패스워드;

 

GRANT connect, resource, dba to 아이디;

모든 권한 부여.

 

select * from all_users;

확인.

 

 

 

 

 

Oracle session 변경

SESSIONS = (PROCESSES * 1.1) + 5

(, 프로세스를 바꾸면 원래 session 바뀌어야함)

 

alter system set processes = 200 scope=spfile;

 

3. 오라클을 재기동한다.

sql> shutdown immediate

sql> startup

 

4. 세션개수가 늘어났는지 확인한다.

sql> show parameter processes

sql> show parameter sessions

 

'IT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bbitMQ 설치  (0) 2015.10.02
3. 우분투에 이클립스 설치하기.  (0) 2014.02.19
2. 우분투에 JDK 설치 (JDK install in ubuntu)  (0) 2014.02.14
1. 우분투 설치 (ubuntu install)  (0) 2014.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