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김광규
4.19가 나던 해 세밑
우리는 오후 다섯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우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기성 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우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나는 아직 1연이다. 허나 옛사랑이다. 이렇게 또렸하지만 .. 옛사랑이다.
입에서 이미 뱉어졌다. 나는 지금 그렇지 아니하다. 그래서 옛사랑이다.
우리의 입에서 뱉어지는 순간 그것은 더이상 진행형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뱉어지는 순간 현재 완료가된다.
초심이라 뱉어지는 순간 나는 더이상 초심이 없어지는 것이다.
옛사랑, 그래서 그립다. 친구들과 모여서 있으면 언제고 뜨겁던 그때가 그립다. 그 옛사랑은 갔지만 1연의 사랑은 지나갔지만.
2연의 사랑은 최대한 미루려 노력해보아야겠다.
아직도 나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너와 함께나누고 싶다. 사랑하자.
약 3년? 4년전 일기에 이렇게 써 있더라. 오그라들면서 반성하게 되는 일기다 싶더라.
오늘은 이 글이 생각나게 한,
국카스텐의 LOST 노래 가사를 내 나름대로 해석해 볼까 한다.
잠깐 facebook에 썼었는데 페북보다는 블로그가 더 적합한 공간인 것 같아서 옮겨본다,
LOST는 하현우가 친구에게 써준 편지를 바탕으로 작성된 가사인데, 나 역시 해석을 친구에게 공개편지 방식으로 작성했었다, 급하게 적었던 것인데 수정 없이 업로드한다.
LOST
우린 어제, 서툰 밤에, 달에 취해
삯을 잃었네. 삯을 잃었네.
어디 있냐고 찾아봐도 이미 바보같이
모두 떨어뜨렸네, 남김없이 버렸네
우린 익숙해져 삭혀버린 달에 취해
아무 맛도 없는 식은 다짐들만 마셔대네
우린 이제서야 저문 달에 깨었는데
이젠 파도들의 시체가 중천에 떠다니네
떠다니네, 봄날의 틈 속에서
흩어지네, 울며 뱉은 입김처럼
꿈에도 가질 수가 없고
꿈에도 알려주지 않던
꿈에도 다시는
시작되지 못할 우리의 항해여..
==============================================
빠른 곡들에 가려진 진짜 킬링 트랙인것 같아.
가사 곱씹으면서 들어봐.
이게 하현우가 쓴 시에서 살을 붙여서 만든거래.
졸업하는 시점에서 이 노래 보니까 생각이 참 많아진다.
사실 국카스텐이 2집을 내면서 라디오헤드 뺨을 때리면서 공연을 하겠다고 했는데.
그정도는 아니었는데. 이 노래는 라디오헤드 감성은 따라간 듯하다는 생각을 했어.
특히, 삯이라는 부분이 이 노래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전적 의미로는 어떠한 대가에 대한 지불이잖아, 이 노래는 지난 20대에 꿈을 향해 고민하고 행동했던 시간들과 열정들을 삯이라고 표현하는 것 같아.
그리고 어두운 밤을 언급하면서 삯을 잃어버려있고, 이미 식어버린 열정과 의지들을
삭혀버린 달과 맛도 없고 식어버린 다짐으로 표현하고있어. 삭혀버린 달은 식어버린 해의 다른 표현이라고 생각해.
그리고 2절부터는 더 관념적인 표현들이 난무해. 저문 달에 깬 우리. 지금 자신을 반성할 수 있게 된 모습을 형상화 한거겠지. 그런데 이 부분은 잘 이해가 안가.
파도들의 시체가 중천에 떠다니고, 봄날의 틈 속에서 흩어진다.
울며 뱉은 입김 처럼.
울며 뱉은 입김은 지금 자신들을 돌아보며 뱉어낸 한숨들일테고, 봄은 청춘으로 많이 표현 되니까 청준의 틈속에서로 해석해볼 수 있을 것 같고. 파도들의 시체가 중천에 떠다닌다. 이건 뭘까? 혹시?라는 생각으로 파도는 주름을 얘기하고 중천은 이마를 얘기하는건 아닐까 생각해봐.
더 이상 꿈이 아닌 당장 앞을 걷기위해 늘어가는 근심들을 표현한 건 아닐까 생각해봐.
그래서 다시 보면, 이미 늦어버린 저문 달에 깨쳐버린 우리들은 더 이상 꿈이 아니라, 현재 앞가림에 급급하고, 그러면서 늘어가는 근심이 우리의 마지막 청춘의 끝에서 한숨과 후회로 아쉬움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봐.
그리고 모순적인 표현을 사용해서 흘러간 청춘을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거라고 얘기하는 것으로 끝난다고 생각해.
조금은 아쉽네, 조금 더 희망적인 가사가 남아있으면 좋았을 텐데.. 그러면 그 또한 노래 전개에 모순적인 부분으로 남겠지?
여기까지가 내가 나름대로 급하게 해석한거야. 올해 28세가 되었고, 학교를 졸업할 것 같네. 그동안 뭘 해놨을까 생각도 해보곤 하는데, 딱히 이뤄놓은 것도 꿈을 향해 미친듯이 노력했던 것도 언제인지 잘 기억이 안나. 예전에 네가 고민할 때 같이 얘기했던 것도 생각났고, 지금 생각이 많던 터라. 코드 비슷한 애랑 얘기가 하고싶었나봐.
곧 지울거야. 잘 들어.